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이미지 타이틀 이미지 타이틀

주간동향

소재·부품·장비 품목 심층분석 - 백금족 세부정보
제목 소재·부품·장비 품목 심층분석 - 백금족
주요 키워드
발행처 KOTRA
등록일 2025-04-10
첨부파일

o 백금족 품목 개요

 

   - 백금족은 주기율표의 전이금속 그룹에 속하며, 화학적 성질과 물리적 특성이 유사한 여섯 가지 원소(백금· 팔라듐·로듐·이리듐·오스뮴·루테늄)로 구성됨 

   - 백금족은 남아공, 러시아 등 일부 국가에 매장되어 있어 공급망이 취약함. 또한 높은 희소성과 채굴 비용으로 인해 재활용이 중요한 이슈로 부상함 

   - 백금족은 전기·전자,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며, 전기·전자 산업은 6.7%, 자동차 산업은 4.0%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임

 

 o 백금족 가치사슬

 

   - 백금족의 가치사슬 구조는 채광 → 광석처리 → 제련 및 정제 → 최종 사용 → 재활용으로 구성

 

[그림 1] 백금족 가치사슬 구조


 

 

     o 백금족 산업 동향

 

   - 남아프리카 주요 광산의 구조조정과 러시아 공급망의 제한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로 백금족 금속(특히 백금)의 공급 부족이 계속되고 있음 

   - 백금족 금속은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배기가스 저감 촉매로 사용되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생한 내수 공급 차질이 글로벌 시장에 영향을 미치며, 수급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 

   - 전 세계 백금족 금속의 약 65% 이상은 자동차의 배기가스 저감용 촉매 장치에 사용되며, 나머지 수요는 보석 및 전자 산업이 차지하고 있음. 남아공과 러시아의 공급 차질로 인해 원광보다는 재활용을 통한 백금족 금속 생산이 중요해지고 있음

   - 아공과 러시아의 공급망 문제로 인해 백금족 금속에 대한 산업적 수요와 공급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음. 이에 따라 백금족 금속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를 찾으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백금족 합금의 재활용 또한 증가하고 있음

 

 

     o 백금족 매장량·생산량 현황


   - 백금족 매장량은 남아공(63,000톤, 88.9%), 러시아(5,500톤, 7.8%), 짐바브웨(1,200톤, 1.7%) 순 

   - 백금족 생산량은 남아공(120톤, 68.6%), 러시아(23톤, 13.1%), 짐바브웨(19톤, 10.9%) 순

 

[그림 2] 백금족 생산량/매장량 현황 

 

2023 국가벼려 백금족 매장량(추정) 

2023 국가별 객금족 생산량(추정) 

 

출처 :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4 

 

 

 

 

     o 국내 수출액 추이 (’20~’24년)


   - ’24년 백금족의 수입액은 379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36.5% 감소

 

[표 1] 수출액 변화 추이(최근 5년)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백만 달러)

 465 

1,326 

898 

597 

379 

 

 

     o 국내 수입액 추이 (’20~’24년)


   - ’24년 백금족의 수입액은 1,183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27.2% 감소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백만 달러)

1,806 

2,977 

2,555 

1,624 

1,183 

 

 

 

     o 백금족 생산·기술개발 현황 

 

   - 국은 백금족 금속의 자원 매장량이 극히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수요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주요 수입처는 남아프리카공화국·러시아·미국 등으로, 전략광물로서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안정적 공급망 확보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 

   - 남아프리카공화국은 전 세계 백금(Platinum) 생산량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며, 주요 백금족 금속의 공급국으로서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음. 반면, 러시아는 팔라듐(Palladium) 공급의 핵심 국가로, 지정학적 이슈가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작용 중임 

   - Anglo American Platinum(남아공), Norilsk Nickel(러시아), Sibanye Stillwater(남아공)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백금·팔라듐·로듐 등을 채굴 및 정제하여 자동차 촉매·수소연료전지·석유화학 공정 등 다양한 산업에 공급하고 있음 

   - 수소 경제의 부상과 함께 백금족 금속의 수요가 구조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백금(Pt)과 팔라듐(Pd)은 연료전지 촉매로서의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음. 이에 따라 고활성 저비용 촉매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 한국재료연구원(KIMS)과 KIST 등은 백금족 금속의 활용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나노촉매 기술과 초미세 입자 합성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특히 촉매 수명 연장 및 사용량 저감 기술이 산업계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음 

   - 재활용 기술의 고도화도 병행되고 있으며, 사용 후 촉매 및 산업 부산물로부터의 백금족 금속 회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습식 및 건식 정제공정 연구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음. 이를 통해 공급 안정성과 친환경성이 동시에 강화될 것으로 기대됨

 

 

 

출처 및 참고자료 

한국기계산업진흥회, 2024 GVC 산업분석 보고서 및 GIVC 시스템 

한국무역협회, 글로벌 무역통계 서비스(K-STAT)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4

。언론, 보도자료 및 기업 홈페이지 정보 등  

 

 

 

 

※자세한 내용은 출처 링크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https://dream.kotra.or.kr/dream/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pageNo=1&pagePerCnt=10&SITE_NO=2&MENU_ID=3430&CONTENTS_NO=1&bbsGbn=518&bbsSn=518&pNttSn=228000&recordCountPerPage=10&viewType=&pStartDt=&pEndDt=&sSearchVal=&pRegnCd=&pNatCd=&pNttCtgrySn=&LCLSF_CD=&CLSF_CD=&sSearchVal=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