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이미지 타이틀 이미지 타이틀

보도자료

[보도자료] 중소기업 근로자의 절반이 50세 이상 고령인력......소기업의 절반은 2025년도 채용계획 없거나 채용 축소 계획 보도자료에 대한 세부내용
제목 [보도자료] 중소기업 근로자의 절반이 50세 이상 고령인력......소기업의 절반은 2025년도 채용계획 없거나 채용 축소 계획
이름 연구기획관리팀
작성일 2025년 03월 10일
첨부파일

중소기업 근로자의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고, 소기업의 절반2025년도 채용계획이 없거나 채용을 축소할 것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원장 조주현)의 노민선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고용동향 분석과 시사점보고서에서 중소기업 근로자의 48.6% 50세 이상 고령인력으로 대기업(26.4%) 대비 22.2%p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생산연령인구(1564)50세 이상 비중인 36.1% 대비 12.5%p 높은 수치며, 최근 10년간 중소기업의 고령인력 비중은 201438.0%에서 202448.6%10.6%p 증가했다.

 

 

   [그림 1] 전체 취업자 대비 고령 취업자 비중

 

 

우리나라의 비임금근로자 비중을 살펴보면, 자영업자는 19.8%OECD 국가 중 9, 무급가족종사자는 3.1%4 수준이다. 특히 주요국들과 비교했을 때는 그 비중이 가장 높다. 자영업자 비중(19.8%)의 경우 미국(6.0%) 대비 13.8%p, 일본(7.4%) 대비 12.4%p 높았으며, 무급가족종사자 비중(3.1%)은 미국(0.1%) 대비 3.0%p, 일본(1.8%) 대비 1.3%p 높게 나타났다.

 

<표 1> 전체 취업자 대비 비임금근로자 비중 국제 비교 

 

 

기업부설연구소에 등록되어 있는 중소기업 재직 연구원 수201,644명으로 전체 연구원의 49.4%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연구원 대비 중소기업 연구원 비중은 2018년부터 감소하고 있다. 중소기업 연구원 수 또한 214,642(’22) 213,031(’23) 201,644(’24)으로 2023년부터 줄어드는 추세.

 

[그림 2] 전체 연구원 대비 중소기업 연구원 비중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44.4%2025년도 신규 채용계획이 없거나 전년 대비 채용을 축소하겠다고 응답했다. 2025년 신규 채용계획에 대해 부정적인 중소기업 중 채용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32.3%, 전년 대비 채용을 축소하겠다는 대답은 12.1%로 각각 나타났다. 종사자 규모별로는 529인 이하 소기업의 50.1%, 30299인 중기업의 34.1%2025년도 신규 채용계획이 없거나 전년 대비 채용을 축소할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 대상 설문조사는 지난 211()부터 27()까지 업력 7년 이상인 종업원 5인 이상 중소기업 589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95% 신뢰수준, 허용오차 ±4.04%p).

 

<2> 중소기업의 2025년 신규 채용 규모(종사자 규모별)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의 노민선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근로자의 감소세가 연구개발 등 전문인력에서 시작되어 이제는 일반인력까지 확대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중소기업 빈 일자리 해소 측면에서 청년 및 고령 인력에 대한 효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노민선 연구위원은 비임금근로자의 임금근로자로의 재취업 지원 강화, 취업 단계별로 청년 대상의 맞춤형 연계 지원, 중소기업의 전문인력 채용 활성화, -중소기업 간, 중소기업 노-사 간 상생경영 지원 확대 등을 주요 정책과제로 제시하였다.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