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본 보고서는 ESG 이슈가 급격히 부상함에 따라 기업의 혼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중소기업 ESG 리스크가 눈앞으로 다가왔음을 지적하며 가이드라인의 공급이 시급하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한국에 ESG가 확산하는 과정에서 정부의 역할은 시장의 전문성을 침해하지 않고, 대중소기업 간 협력을 유인하며 민간 주도 ESG 생태계가 자리 잡도록 지원하는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ESG는 2005년 UN “Who Cares Wins” 컨퍼런스에서 기관투자자들의 지속가능한 투자 방안으로서 처음 제시된 이후, 전 세계 금융사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확산하여 온 개념이다.
탄생한 지 10년이 넘은 개념이 2020년 말부터 한국에서 급부상한 이유는 바이든 당선 이후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ESG 관련 규제 도입 움직임이 거세진 것과 연관한다.
<구글 트렌드 ESG 검색량 지수(2019년~현재)>
본래 유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ESG 의무공시를 비롯한 탄소중립 등 지속가능성 규제가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 이후 전 세계적인 트렌드가 된 것이다.
구글 트렌드 ESG 검색량 지수도 이러한 동향을 드러내고 있는데 바이든 당선 이후 모든 국가에서 ESG 이슈가 부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ESG가 민간 자본시장의 투자요인이 아닌 기업경영의 규제적 요소로 붐업(Boom-up)된 영향으로 공공과 민간의 ESG에 대한 전반적 이해도가 부족한 상황이다.
공적 영역에서의 ESG 표준화 및 정보공시를 넘어 평가와 인증 체계에 관한 논의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세계시장에서 ESG 평가는 AI를 활용한 data science의 영역으로 고도화되어가고 있으며 이런 상황에서 공적 부문 주도의 정형화된 ESG 평가체계의 공급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중소기업은 ESG에 대한 인식과 대비가 미비한 상황에서 손실리스크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수출 중소기업의 경우 글로벌 기업이 납품 기업에 대한 ESG 성과 요구 수준을 강화하면서 납품 배제, 거래 중단 등의 위험에 처하게 되었으며, 국내 B2B 중소기업도 대기업의 협력사를 포괄하는 공급망 전반의 ESG 위험 관리 움직임에 따라 이에 대응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으로는 이러한 환경에서 한국 중소기업이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면 글로벌 공급망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중국 기업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는 기회요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