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스타트업 분야에서 대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업정보 데이터베이스인 크런치베이스(Crunchbase)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위상을 평가하고, 정책과제를 도출

크런치베이스에서 기업별로 정의하고 있는 사업 영역 태그를 사업 영역을 구분하는 항목 집합(Itemsets)으로 보고, 항목집합 간 연관성을 연관규칙분석(Association rule mining)으로 분석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의 가장 큰 취약점은 글로벌 지향적 개방성의 부족으로 글로벌 연결성과 글로벌 접근성 제고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위상 파악이 전제되어야 함

 

크런치베이스에 수록된 글로벌 스타트업에서 한국의 스타트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 2019년 기준 약 1.0%

 

AI, iOS, IT 분야 등에서 국내 기업의 비중은 증가하고 있으나, SW, E-Commerce 등에서의 비중은 감소

(Artificial Intelligence) 국내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IT-ML-SW ML-SaaS 분야에서 인도, 이스라엘 기업의 비중과 비교하여 작음

(iOS) 국내 기업은 2010~ 2014iOS Android의 각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였으나, 2015~ 2019년 비중이 크게 감소함

(Information Technology) 전통적으로 미국, 일본 기업의 수가 많으며, 국내 기업은 최근까지 꾸준히 일정 비중을 유지함

(Software) IT SaaS와 연계된 분야에서 국내 기업의 비중은 영미권은 물론 프랑스, 독일, 인도, 중국 기업의 비중에 비해서도 작음

(Financial Services) 국내 기업은 FinTech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며, 2015~ 2019년 이 분야 기업 수가 크게 증가함

(Health Care) 국내 기업은 Medical Device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으나, 펀딩액 규모는 최상위 기업 대비 1% 수준에 못 미침

(Energy) 국내 기업은 2000년부터 최근까지 상위권에 없으며, 최상위권에는 영미권 기업이 위치

(Fashion)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의 기업이 주도하나, 펀딩액 측면에서는 국내 기업이 최상위에 위치

 

AI, iOS(Android), SW와 같이 글로벌 스타트업의 활동이 왕성한 분야에서 국내 스타트업 비중은 답보 수준에 그치고 있어 이 분야 저변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

 

IT 분야는 기업 수로는 타 분야 대비 국내 스타트업의 비중이 큰 편이나, 펀딩액 규모에서 차이가 커 적극적인 스케일업 필요

글로벌 스타트업 중 Health Care Biotechnology 분야의 규모가 가장 크다는 점에서, 이 분야 국내 기업의 적극적인 스케일업 촉진 필요

 

Energy 분야의 경우 그린 뉴딜과 같은 정책 추진에도 Renewable Energy, Solar 분야의 주목할 만한 국내 스타트업이 없다는 점에서 Energy 분야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주력

 

Financial Services 분야는 국내 스타트업이 전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어 규제 완화를 포함하여 국내 스타트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주력

 

Fashion 분야는 국내 스타트업이 Lifestyle, Retail 분야에서 최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산업과 결합한 스타트업의 육성을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