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사회경제구조에 따른 라이프 스타일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결합,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한 코로나19는 비대면 사회를 빠르게 등장시키며 온라인 거래를 급증시킴

 

전통시장과 상점가에 있는 소상공인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직격탄을 맞고 있으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와 함께 체질 개선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요구 받고 있음

 

상권은 지역의 다양한 자원들이 거래되는 공간일 뿐 아니라, 플랫폼에서 경험할 수 없는 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는 클러스터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차별화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이며 수단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온오프라인 니즈를 상권에 접목하는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제시하여 소비자들을 자연스럽게 상권으로 유입시키고 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임

 

 

2. 연구동향 및 정책 현황

연구 현황

디지털 상권 관련 연구, 소상공인 디지털화 관련 연구, seemless 관련 연구를 검토하여, 소상공인과 디지털을 연계한 연구 진행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적용가능한 개념과 이슈를 도출

 

정책 현황

문재인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 정책, 디지털 강화 방안 등의 내용 검토 후, 관련 정책과 본 연구 모델의 융합방안 모색

   

2. 소비 및 경영환경 변화

소비자들의 소비패턴 변화요인 및 전개 방향, 소상공인의 경영환경 수준 및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상권 단위 접근의 중요성을 파악하였으며,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개발 방향을 정립

거대 유통업과 빅테크(big tech) 기업들에게 종속되지 않고 소상공인들만이 가질 수 있는 차별성을 갖기 위해서는 감성, 경험, 장소를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는 상권 단위 접근과 스마트 기술의 편리성을 융합한 디지털 상권 모델이 중요

 

4. 관련 기술 및 사례 검토

디지털 뉴딜 관련 기술

디지털 뉴딜에 적용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내용 검토를 통해,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적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 도출

 

스마트시티 적용 기술 검토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기술과 서비스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소비자 행동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도출

 

5. FGI 및 설문조사

FGI

상인과 소비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소상공인 현재 상황과 필요사항, 소비자의 거래 성향 및 니즈를 파악

 

설문조사

(상인) 상인들은 상권 개선 방향에 대해 키오스크사이니지 설치, 스마트 상점, 아이 돌봄 공간 등의 필요성을 언급

(소비자) 상품 다양성, 차별화된 콘텐츠, 소량 판매, 픽업 및 배달 서비스, 간편결제, 깨끗한 시설, 공유부엌, 아이 돌봄 공간, 푸드코트 등에 대한 필요성 언급

 

 

6.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개발 및 지원 방향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정의

(광의)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제품과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고 거래하는 소비자들에게 인지된 특정 지역의 물리적 공간 범위

(실무적 범위)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 편의성과 접촉 빈도를 높여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일정 범위의 상권 구역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적용 개념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적용의 기본 개념은 소비자 구매 전 과정에서 온오프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와 소통하고 거래하는 오프라인 공간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통합 생태계임

- , 한 상권에 대하여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기술을 적용하여 온오프라인 네트워크상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비자와 소통하고 거래함으로써 상권 활성화를 도모하는 모델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특징

첫째, 지역상권을 대상으로 하므로 온라인 네트워크상의 공간적 제약은 없으나 상권이 입지한 곳과 가까울수록 거래와 소통이 활발하게 나타남

둘째, 상권의 이용과 거래 편의를 위해 디지털 도구를 이용하므로 기존 상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오프라인의 유기적 네트워크가 강함

셋째, 상권은 공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디지털 기술과 디바이스뿐 아니라 물리적인 하드웨어(H/W)와 시설, 현장의 조직이나 시스템이 같이 연동되어 작동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지원 구성요소

기존 상권 및 플랫폼 구성요소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 개념 및 특성, 사업 성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각 시스템’, ‘인프라’, ‘관리 및 모니터링’, ‘홍보를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지원 구성요소로 함

- 사업자, 소비자, 플랫폼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대상이므로 상권 구성요소에 포함되나 모델 적용을 위한 구성요소에서는 고려하지 않음

- 또한, 상권과 플랫폼 생태계 구성요소들은 온오프라인 네트워크상에서 복잡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작동되지만 지원사업의 성격을 감안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각에 대하여 유형화하여 진행함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적용 방법

첫째,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적용 방법은 2단계의 맞춤형 전략으로 적용

- 1단계: ‘지역 및 상권 분석

- 2단계: ‘지역 및 상권 수준에 따른 맞춤형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적용

둘째,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에 이용하는 플랫폼의 경우, 공공이 아닌 민간 플랫폼 활용

- 민간 플랫폼의 경쟁력이 높으며, 이미 편리한 UXUI로 소비자 선점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적용 프로세스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적용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크게 12단계로 진행되며, 2단계에서 세부 적용 프로세스는 조정현(2019)이 논문에서 제시한 블루프린트방법을 참고하고자 함

- 조정현(2019)은 전통시장의 온오프라인 채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소비층을 유입할 수 있는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정보인지-시장진입-상품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탐색-상품 선택구매-시장진출-교환환불-정보공유7단계로 제시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적용 단계별 적용리스트 및 주요 역할

적용리스트는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지원 구성요소와 조정현(2019)의 블루프린트 7단계를 혼합하여 제시

본 리스트는 디지털 상권 모델을 실제 적용하는데 참고로 활용하기 위함이며, 본 리스트 외에도 각 상권에서 필요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음

 

광명사거리 상권 시뮬레이션

(지역분석) 대상지 기본 현황, 주변 지역자원, 문화시설 및 운영 현황, 시설 현황 등을 통해 연계 가능한 행사 탐색

(상권분석) 입지 분석, 업종 및 매출액 분석, 유동인구 분석, 거주인구 및 직장인구 구성 및 소득 현황, 소비패턴, 상점가 현황, 광명전통시장 중기부 지원 및 시설 현황 등을 검토

 

7. 결론

연구는 소비자 행동 패턴 및 특성을 파악하여 온라인 경쟁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상권에 녹일 수 있는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

 

단시간에 효과를 내기 어려우나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통하여 소비자의 자연스러운 구매와 상권 유입을 유도하여 상권이 활성화되기를 기대

 

장기적으로는 디지털 상권에서 지역 수요자와 소비패턴을 잡아내어 거주환경의 물리적 변화로 인한 상권쇠퇴를 방어할 수 있는 전략 구상, 소상공인 맞춤형 경영 전략, 공공의 상권 관리 및 전략에 효율적으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