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사회・경제구조에 따른 라이프 스타일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의 결합,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한 코로나19는 비대면 사회를 빠르게 등장시키며 온라인 거래를 급증시킴
❏ 전통시장과 상점가에 있는 소상공인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직격탄을 맞고 있으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와 함께 체질 개선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요구 받고 있음
❏ 상권은 지역의 다양한 자원들이 거래되는 공간일 뿐 아니라, 플랫폼에서 경험할 수 없는 스토리를 제공할 수 있는 클러스터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차별화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반이며 수단
❏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기술을 이용하여 소비자의 온・오프라인 니즈를 상권에 접목하는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제시하여 소비자들을 자연스럽게 상권으로 유입시키고 소상공인들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임
2. 연구동향 및 정책 현황
❏ 연구 현황
ㅇ 디지털 상권 관련 연구, 소상공인 디지털화 관련 연구, seemless 관련 연구를 검토하여, 소상공인과 디지털을 연계한 연구 진행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적용가능한 개념과 이슈를 도출
❏ 정책 현황
ㅇ 문재인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 정책, 디지털 강화 방안 등의 내용 검토 후, 관련 정책과 본 연구 모델의 융합방안 모색
2. 소비 및 경영환경 변화
❏ 소비자들의 소비패턴 변화요인 및 전개 방향, 소상공인의 경영환경 수준 및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상권 단위 접근의 중요성을 파악하였으며,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개발 방향을 정립
ㅇ 거대 유통업과 빅테크(big tech) 기업들에게 종속되지 않고 소상공인들만이 가질 수 있는 차별성을 갖기 위해서는 감성, 경험, 장소를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는 상권 단위 접근과 스마트 기술의 편리성을 융합한 디지털 상권 모델이 중요
4. 관련 기술 및 사례 검토
❏ 디지털 뉴딜 관련 기술
ㅇ 디지털 뉴딜에 적용되는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내용 검토를 통해,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적용할 수 있는 기반기술 도출
❏ 스마트시티 적용 기술 검토
ㅇ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기술과 서비스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소비자 행동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도출
5. FGI 및 설문조사
❏ FGI
ㅇ 상인과 소비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소상공인 현재 상황과 필요사항, 소비자의 거래 성향 및 니즈를 파악
❏ 설문조사
ㅇ (상인) 상인들은 상권 개선 방향에 대해 키오스크・사이니지 설치, 스마트 상점, 아이 돌봄 공간 등의 필요성을 언급
ㅇ (소비자) 상품 다양성, 차별화된 콘텐츠, 소량 판매, 픽업 및 배달 서비스, 간편결제, 깨끗한 시설, 공유부엌, 아이 돌봄 공간, 푸드코트 등에 대한 필요성 언급
6.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개발 및 지원 방향
❏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정의
ㅇ (광의)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제품과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고 거래하는 소비자들에게 인지된 특정 지역의 물리적 공간 범위
ㅇ (실무적 범위) 온・오프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 편의성과 접촉 빈도를 높여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스마트 디바이스 또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일정 범위의 상권 구역
❏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적용 개념
ㅇ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적용의 기본 개념은 소비자 구매 전 과정에서 온・오프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소비자와 소통하고 거래하는 오프라인 공간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통합 생태계임
- 즉, 한 상권에 대하여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 기술을 적용하여 온・오프라인 네트워크상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소비자와 소통하고 거래함으로써 상권 활성화를 도모하는 모델
❏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특징
ㅇ 첫째, 지역상권을 대상으로 하므로 온라인 네트워크상의 공간적 제약은 없으나 상권이 입지한 곳과 가까울수록 거래와 소통이 활발하게 나타남
ㅇ 둘째, 상권의 이용과 거래 편의를 위해 디지털 도구를 이용하므로 기존 상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오프라인의 유기적 네트워크가 강함
ㅇ 셋째, 상권은 공간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디지털 기술과 디바이스뿐 아니라 물리적인 하드웨어(H/W)와 시설, 현장의 조직이나 시스템이 같이 연동되어 작동
❏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지원 구성요소
ㅇ 기존 상권 및 플랫폼 구성요소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델 개념 및 특성, 사업 성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각 ‘시스템’, ‘인프라’, ‘관리 및 모니터링’, ‘홍보’를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지원 구성요소로 함
- 사업자, 소비자, 플랫폼은 이미 존재하고 있는 대상이므로 상권 구성요소에 포함되나 모델 적용을 위한 구성요소에서는 고려하지 않음
- 또한, 상권과 플랫폼 생태계 구성요소들은 온・오프라인 네트워크상에서 복잡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작동되지만 지원사업의 성격을 감안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각에 대하여 유형화하여 진행함
❏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적용 방법
ㅇ 첫째,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적용 방법은 2단계의 ‘맞춤형 전략’으로 적용
- 1단계: ‘지역 및 상권 분석’
- 2단계: ‘지역 및 상권 수준에 따른 맞춤형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적용’
ㅇ 둘째,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에 이용하는 플랫폼의 경우, 공공이 아닌 민간 플랫폼 활용
- 민간 플랫폼의 경쟁력이 높으며, 이미 편리한 UX와 UI로 소비자 선점
❏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 적용 프로세스
ㅇ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적용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크게 1・2단계로 진행되며, 2단계에서 세부 적용 프로세스는 조정현(2019)이 논문에서 제시한 ‘블루프린트’ 방법을 참고하고자 함
- 조정현(2019)은 전통시장의 온・오프라인 채널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다양한 소비층을 유입할 수 있는 서비스 블루프린트를 ‘정보인지-시장진입-상품・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 탐색-상품 선택・구매-시장진출-교환・환불-정보공유’의 7단계로 제시
❏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적용 단계별 적용리스트 및 주요 역할
ㅇ 적용리스트는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지원 구성요소’와 조정현(2019)의 블루프린트 7단계를 혼합하여 제시
ㅇ 본 리스트는 디지털 상권 모델을 실제 적용하는데 참고로 활용하기 위함이며, 본 리스트 외에도 각 상권에서 필요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음
❏ 광명사거리 상권 시뮬레이션
ㅇ (지역분석) 대상지 기본 현황, 주변 지역자원, 문화시설 및 운영 현황, 시설 현황 등을 통해 연계 가능한 행사 탐색
ㅇ (상권분석) 입지 분석, 업종 및 매출액 분석, 유동인구 분석, 거주인구 및 직장인구 구성 및 소득 현황, 소비패턴, 상점가 현황, 광명전통시장 중기부 지원 및 시설 현황 등을 검토
7. 결론
❏ 연구는 소비자 행동 패턴 및 특성을 파악하여 온라인 경쟁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상권에 녹일 수 있는 스마트 기술을 접목한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
❏ 단시간에 효과를 내기 어려우나 ‘소상공인 디지털 상권 모델’을 통하여 소비자의 자연스러운 구매와 상권 유입을 유도하여 상권이 활성화되기를 기대
❏ 장기적으로는 디지털 상권에서 지역 수요자와 소비패턴을 잡아내어 거주환경의 물리적 변화로 인한 상권쇠퇴를 방어할 수 있는 전략 구상, 소상공인 맞춤형 경영 전략, 공공의 상권 관리 및 전략에 효율적으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