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Unicorn) 기업은 미국의 벤처캐피탈리스트 Aileen Lee2013년에 최초로 사용한 용어로서, 상장 전 기업가치가 10억 달러가 넘는 스타트업을 의미하며 성공적인 스타트업을 상징하는 용어가 되었음

 

한국의 유니콘 기업은 전자상거래 업종의 비율이 높다는 특징을 지님

특히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스타트업 강국에서 핀테크, 소프트웨어, AI 업종의 비율이 높은 것과는 다소 다른 양상

 

한국의 유니콘 기업은 창업 이후 기업가치가 1조 이상 되기까지 평균적으로 8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으며, 창업자의 창업 당시 나이는 평균 35세였음

 

한국 유니콘 기업을 분석했을 때 주요한 성장 요인은 다음과 같음

시의적절한 M&A의 활용

경합 상황에서의 적극적 투자 유치로 자금 우위 확보

창업자가 풍부한 인맥이나 경험을 지니고 있음

기업가치를 크게 성장시키는 과정에서 수요시장이 세계 시장일 경우 훨씬 유리하며 해외시장 진출 시에는 진출하고자 하는 나라의 투자자본을 유치하는 것이 좋음

대부분의 유니콘 기업 창업자가 이미 창업을 하여 실패하거나 회수한 경험이 있었음

 

전 세계적으로 유니콘 기업의 수는 202011월 기준 528개로 집계되고 있으며 연도별 발생 추이를 살펴볼 때 2018309개로 한 해에 가장 많은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였고,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가장 큰 성장을 이루었음

 

유니콘 기업의 발생은 국가별로 쏠림현상이 두드러지며 상위 7개 국가가 528개 중 467개를 탄생시킴

이는 유니콘 기업이 이전보다 흔해졌고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하지만 탄생하는 나라에서만 지속적으로 나타날 뿐 전 세계적으로 볼 때 여전히 이름처럼 희귀한 현상임을 알 수 있음

 

전 세계 유니콘 기업의 업종별 분포를 살펴보면 핀테크가 72개로 가장 많으며, 인터넷 소프트웨어, 전자상거래, 인공지능, 건강 분야가 각각 67, 65, 47, 37개로 과반을 차지하고 있음

 

유니콘을 탄생시키는 생태계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국가별 유니콘 기업 발생수를 포함하는 2015년부터 2019년의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고정효과 포아송 모형(fixed-effect Poisson model)을 추정하는 패널분석(panel analysis)을 시행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일인당 국민소득 수준과 벤처투자 규모가 크고 기업이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이공계통의 전문 인력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나라일수록 유니콘 기업을 많이 탄생시킨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었음

 

유니콘 기업 수 상위 7개 주요국의 산업 분포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먼저 중국은 한국과 마찬가지로 전자상거래 유니콘 기업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모바일통신, 교통수단 순으로 많았음

미국과 이스라엘은 서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주로 인터넷 소프트웨어, 핀테크, 인공지능 순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음

여러 가지 산업 중 핀테크 분야의 유니콘 기업이 가장 많은 나라로는 영국, 인도, 독일이 있었음

- 이 세 나라는 핀테크 산업이 가장 우세하게 발달하였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유니콘 기업 트렌트와도 일치

 

유니콘 기업의 수는 미국이 가장 높지만, 가장 가치가 높은 기업 상위 1위와 2위는 중국이 차지하고 있음

- 각 나라에서 가장 가치가 높은 기업을 뽑아서 가치 순으로 국가별 순위를 매길 경우 인도와 영국의 순위가 바뀌고, 한국은 독일과 기업 수에서는 13개로 동률이지만 기업가치 면에서는 더 높은 평가를 받고 있었음

분석 결과 한국은 경제 규모에 비해 유니콘 기업에 있어서 훌륭한 성적표를 거두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유니콘 기업의 가치 면에서도 기업 수에서 순위가 동률인 독일에 비해 높은 기업가치를 기록하면서 양질의 유니콘 기업들이 탄생하여 성장하고 있음

- 다만 유니콘 기업의 분야가 전자상거래나 소매업으로 집중되어 있는 점과 고도의 기술을 지닌 유니콘 기업이 부족하다는 점은 여전히 과제

 

분석을 바탕으로 결론과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음

창업 생태계 개선 방향

- 핀테크 창업 등 규제환경 개선 필요

정책적 관점에서 전 세계적인 트렌드와 달리 우리나라에서 핀테크 유니콘 기업이 발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며, 그것이 규제 측면이라면 과감한 규제 혁신이 필요

- 경험과 인맥을 지닌 경력자 창업 지원 강화

유니콘 기업의 창업자들은 고급 학연을 활용하거나 사업하고자 하는 분야에서 실전경험이 풍부하거나 둘 중 하나의 요건은 반드시 만족하고 있음

- 연쇄창업자를 육성하는 창업 생태계

창업의 성공실패 여부와 관계없이 창업의 경험이 있는 인력이 스타트업 생태계에 계속 머무를 수 있도록 제도적 유인을 제공해야 함

유니콘 기업의 스케일업 지원 방향성

- 본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키우려면 해외자본 유치 필요

본글로벌 유니콘 기업 지원은 진출하고자 하는 해외시장의 전략적/재무적 투자자와의 네트워크 확보와 연결을 지원의 우선순위로 삼아야 함

- 초대형 기업가치: 시장이 크거나 고도의 기술을 기반으로 해야 함

유니콘 기업의 가치를 고려하는 정책을 수립한다면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지원이나 기술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지원에 포커스가 맞춰져야 할 것임

벤처투자 시장 확장 기조는 유지

- 유니콘 기업을 탄생시키는 국가별 요인의 분석에서 일인당 국민소득 수준과 벤처투자 규모가 크고, 기업이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이공계통의 전문 인력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나라일수록 유니콘 기업을 많이 탄생시킨다는 결론

- 이러한 결론은 지금까지 벤처투자 규모를 지속적으로 과감하게 확장해온 한국의 정책 노선이 틀리지 않았다는 점을 증명

- 벤처투자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동시에 중견 및 대기업의 전략적 투자자 유인 강화를 위해 세제 개편 등 필요

유니콘 분야의 다양성은 미래과제

- 한국의 유니콘 기업의 업종이 전자상거래와 소매업 위주이고 가치가 높은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기업이 없는 것은 우리나라 스타트업 생태계의 미래과제

- 핀테크,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분야 기술 인력의 창업을 지원하고 아이디어가 있는 예비 창업자와의 연결을 주선하여 먼저 해당 분야의 창업 규모 확대를 유도

- 기술 분야 스타트업은 유니콘 기업이 되기까지 장기간 소요(에이프로젠 19)되므로, 기존 정책보다 장기적 관점의 금융 지원 필요

- 투자위험이 큰 미래 기술 개발을 위해 공적 벤처캐피탈 고려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