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최근 20년간 대-중소기업 간 노동시장 격차 심화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평균임금 비중 : 71.7%(’99) 59.4%(’19) [12.3%p]

- 연평균 평균임금 증가율(’99’19) : 중소기업 4.5%, 대기업 5.5%

-중소기업 간 평균 연령 차이 : 1.6(’99) 3.6(’19) [2.0]

- 중소기업 : 36.2(’99) 43.1(’19) / 대기업 : 34.6(’99) 39.5(’19)

-중소기업 간 평균 근속기간 차이 : 3.2(’99) 4.7(’19) [1.5]

- 중소기업 : 5.1(’99) 6.0(’19) / 대기업 : 8.3(’99) 10.7(’19)

 

최근 5년간 대-중소기업 간 평균임금과 연령 격차가 완화되고, 중소기업 근속기간은 증가세로 전환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평균임금 비중 : 54.6%(’14) 59.4%(’19) [4.8%p]

- 연평균 평균임금 증가율(’14’19) : 중소기업 3.2%, 대기업 1.5%

-중소기업 간 평균 연령 차이 : 3.9(’14) 3.6(’19) [0.3]

- 중소기업 : 41.0(’14) 43.1(’19) / 대기업 : 37.1(’14) 39.5(’19)

-중소기업 간 평균 근속기간 차이 : 4.6(’14) 4.7(’19) [0.1]

- 중소기업* : 5.4(’14) 6.0(’19), 대기업** : 10.0(’14) 10.7(’19)

* 0.2(’09’14) 0.6(’14’19) / ** 0.8(’09’14) 0.7(’14’19)


중소기업은 성별·학력별 임금 격차가 크고, 고졸 인력의 고령화 현상 심화

남성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여성 대비 47.3% 높은 수준

고졸 근로자의 평균임금은 대졸 이상 대비 66.9%에 불과

- -중소기업 간 임금격차 또한 고졸 근로자가 대졸 이상 대비 높게 나타남

고졸 근로자의 평균 연령(46.7)은 대졸 이상(40.3) 대비 6.4세 높은 수준

- 고졸 : 34.0(’99) 46.7(’19) [12.7]

- 대졸 이상 : 36.3(’99) 40.3(’19) [4.0]

 

본 보고서에서는 대-중소기업 간의 노동시장 격차에 대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정책과제를 제시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 상승과 장기재직 활성화>

(방향) 중소기업 사업주와 근로자 간의 성과공유 촉진

정부 지원사업 추진 시 성과공유제 도입 중소기업에 대한 우대규정 마련

코로나19 극복 시까지 한시적으로 내일채움공제의 정부 매칭 추진

중소기업의 경영성과급, 우리사주, 스톡옵션 활성화를 위한 조세지원 확대


<중소기업 고졸 취업(예정)자의 성장경로 확충>

(방향) 중소기업 취업 이후 역량개발과 장기재직을 통해 핵심인력으로 성장

중소기업 고졸 취업 활성화

중소기업 고졸 취업자의 학사학위 취득과 자기주도형 학습 지원


<기술 기반의 혁신 일자리에 청년과 여성 인력의 참여 확대>

(방향) 전문역량을 보유한 청년과 여성 대상의 취·창업 지원 확대

청년과 여성 우수인력에 대한 중소기업 활용도 제고

청년과 여성에 특화된 맞춤형 기술창업 교육과 멘토링 실시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내용문의 : 노민선 연구위원(02-707-9843, msnoh@kosb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