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 영국은 산업전략백서(Industrial Strategy-Building a Britain fit for the future)를 통해 영국 경제 전환을 위한 5대 생산성 기반으로 아이디어, 인력, 인프라, 비즈니스 환경, 지역 발전 등을 선정하고, 각 부문별 과제 및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수립하였음
□ (아이디어 : 세계에서 가장 혁신적인 경제) 영국은 ’17년 ‘유럽혁신평가(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에서 유럽 평균을 23% 상회하였으나, 전체 기업 중 약 절반만이 혁신기업으로 분류되는 등 아직까지 개선의 여지가 많음
o ’27년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을 2.4%까지 확대하고, 아이디어의 상업화를 가속화하며, 클러스터 구축 및 인재 유치를 강화할 계획임
□ (인력 : 양질의 일자리와 수익창출 능력 강화) 영국은 우수한 교육시스템을 갖추고 기업의 수요에 맞는 인력을 배출하고 있으나, STEM(과학·기술·공학·수학) 관련 인력 부족 등의 문제를 안고 있음
o 기업 및 산업계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고등교육시스템을 개혁하고, 수학교육 및 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계획임
□ (인프라 : 대폭적인 업그레이드) 새로운 기술 시대에 맞는 인프라 투자를 통해 영국의 경제적 지형을 변화시켜 나갈 계획임
o ‘국가생산성투자기금’을 ’22/’23년까지 연장하고 230억 파운드에서 310억 파운드로 확대하며, 산업전략 목표 달성 및 전국적 성장을 추동하는 인프라 투자를 실시함
□ (비즈니스 환경 : 창업과 기업성장의 최적지) 성장 기업의 자금 접근성 개선, 생산성 높은 기업의 모범 사례 전파, 수출 기업의 시장 접근성 및 수익성 보장, 사회·기술변화를 고려한 경쟁·규제환경 조성 등이 필요함
o 고성장 혁신 기업 지원을 위해 향후 10년 간 200억 파운드를 투자하고, ‘사업기초프로그램(Business Basics Programme)’ 신설, 지역 ‘성장허브(Growth Hub)’ 접근성 강화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생산성 제고 모범사례를 확산함
□ (지역 : 전국 지역사회의 번영) 각 지역의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해 기회를 창출하고, 획일적인 지역 정책을 탈피해야 함
o ’19년 3월까지 ‘지역산업전략(Local Industrial Strategies)’을 개발해 각 지역의 강점・과제, 미래기회・생산성, 수익창출 능력・경쟁력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책 등을 수립할 계획임
□ 미래 산업전략 목표를 생산성 향상으로 설정한 것은 생산성 향상이 영국 경제의 경쟁력을 높이는 가장 핵심적인 과제이며, 시민들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토대라는 인식 때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