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4차 산업혁명이 진전되면서 노동환경이 변화하고 새로운 고용형태들이 출현하고 있음

o 고용형태 출현의 주요 배경은 고용주와 근로자 모두의 보다 높은 유연성 요구, 폭넓은 ICT 활용, 특수한 사업활동 및 직무의 중요성 증대 등임

o 이들 고용형태는 노동의 구성·종류·성격이 달라지고 있으며, 기존의 법과 제도의 틀 내에서는 담보하기 어려운 특성들을 보이고 있음


EU는 유럽에서 새로이 나타난 9개의 고용형태를 조사 분석하고 이들이 노동조건과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정책 수립 시 고려해야할 점들을 권고하고 있음

o 분석 대상인 고용형태는 근로자 공유, 일자리 공유, 일시적 근로, 캐주얼 근로, 바우처 근로, 모바일 근로, 포트폴리오 근로, 크라우드 고용, 협력 고용 등임


고용형태는 고용관계, 근로형태, 독립사업자들 사이의 네트워킹 방식, 근로장소, ICT 활용 등에서 기존 고용형태와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음

o 고용형태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공통된 핵심 특징은 유연성의 제고임

o 고용주와 근로자의 관계가 전통적인 11 관계가 아니며, 근로형태도 정기적이며 연속적인 방식이 아니리 일시적 또는 한정된 기간의 근로가 이루어지고 있음


고용형태가 근로조건과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특성, 그들의 선호와 양자 간의 협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o 고용형태는 특정 그룹 근로자들의 노동시장 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노동시장 혁신에 기여할 것으로 보임

o 하지만 일부 고용형태의 경우 노동시장의 분절화를 심화시킬 가능성도 존재하며, 유연성 제고의 영향도 상이하게 나타남


고용형태별 이질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일반적 논의 또는 정책적 권고는 의미가 매우 약함

o 신고용형태가 무엇인지에 대한 공통된 이해가 필요하며, 법제화 및 규제 프레임워크, 모니터링과 컨트롤 메커니즘 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

기술변화에 따른 새로운 유형의 고용형태 출현은 이미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은 미래의 부정적 측면에 대한 소극적 차원이 아니라 미래를 적극적·주도적으로 형성해간다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함


[원문] Eurofound, New forms of employment,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