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1차 벤처붐시대의 벤처확인기업을 대상으로 성과를 점검
• 1차 벤처붐시대를 1998년부터 2001년까지로 정의하고, 이시기에 벤처확인을 받은 기업(14,005개)을 대상으로 성과분석을 실시함. 1차 벤처붐시대의 벤처 현황 및 성과 점검을 통해 향후 4차 산업혁명의 효율적 대응과 벤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음
■ 일반기업 대비 높은 생존율로 경제 안정화에 기여
• 1차 벤처붐시대 벤처확인기업(벤처확인시점 시 창업기업=2,561개)의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10년 평균 생존율은 46.8%로 일반 창업기업(17.9%) 대비 상당히 높은 생존율로 우리 경제의 안정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됨
■ 고성장 기업군으로서 고부가가치 및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
• 벤처기업의 매출액 증가폭(기업당 3.5배 증가)이 일반기업(기업당 2.1배 증가) 보다 높고 매출증가율도 일반기업 대비 일관되게 더 높게 나타남
• 벤처기업의 영업이익률이 일반기업보다 높았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그 차이가 확대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한 것으로 확인됨
■ 우리 경제의 허리층 강화에 기여
• 매출 100억 이상의 비중이 2001년 29.5%(837개)에서 2015년 56.7%(1,594개)로 2배 가까이 증가. 2017년 벤처기업협회에서 발표한 2016년 벤처천억기업(513개) 중에 1차 벤처붐시대 벤처확인기업은 49.3%로 매우 높은 상황
■ 상장사 내 역할 및 비중 확대됨으로써 질적으로도 상당히 성장
• 국내 상장사들 가운데 1차 벤처붐시대에 차지하는 벤처기업의 비중이 2001년 14.6%를 차지했으나, 2015년도에는 26.9%를 차지하고 있어 수적으로 증가함
• 시가총액 측면에서도 2001년 3.2%에서 2015년 8.3%를 차지, 상당한 기업가치 상승이 이루어져 질적인 측면에서도 발전이 이루어짐
■ 1차 벤처붐시대의 성공요인은
• 첫째, 1차 벤처붐시대는 벤처가 성장하기에 필요한 환경 및 인프라가 매우 열악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서 기회를 인식하고 과감히 첨단 및 신산업에 도전이 이루어진 점
• 둘째, IMF 경제 위기와 벤처붐 조성으로 잠재력을 보유한 우수인력이 창업 대열에 다수 합류하였으며, 대량실업 사태로 시장에서 고급인력을 충분히 활용 가능하였던 점
• 셋째, 엔젤 및 벤처 투자의 활성화와 진입장벽이 낮았던 상장요건 등으로 IPO가 상대적으로 용이하여 기업들에게 필요한 자양분이 적절히 제공된 점
• 넷째, 1차 벤처붐시대, 3-4년을 제외하고 이후 오랜 기간 혹독한 시련기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벤처기업인들 특유의 열정과 스스로에 대한 자긍심, 높은 성취욕 등이 응축되어 나타난 결과로 평가됨
•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의 효율적 대응과 혁신 생태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량적 평가보다는 인적자원의 잠재력 평가에 집중할 것과 국내외 우수인력의 창업 및 교류 촉진, 민간 주도형의 투자 활성화, 혁신 경제에 걸맞는 코스닥 시장의 역할 및 정체성 확립, 공정거래질서·규범의식 등의 사회적 자본들을 축적해 나갈 것을 제언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내용문의 : 이미순 연구위원(02-707-9812, mslee@kosb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