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일본에서는 중소기업조합을 비롯해 중소기업 연계조직에 의한 신사업 전개와 이노베이션 창출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음
o 경제·사회 환경이 크게 변화하는 가운데, 중소기업 조합제도는 ‘규모의 경제 실현’에 그치지 않고 본래 중소기업이 갖고 있는 이동성, 유연성, 창의성 등을 살려 ‘경영 자원의 상호 보완’을 도모하기 위한 조직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
□ 일본의 주요 중소기업 조합제도는 ①사업협동조합, ②기업조합, ③협업조합, ④상공조합, ⑤상가진흥조합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일본 기업조합은 약 1,800개 정도로 중소기업조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에 불과하지만 창업에 적합하고, 다양한 개인에 의해 다양한 일하는 방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일하는 방식의 개혁(働き方改革)’ 주체로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음
o 기업조합의 60% 정도는 개인인 비사업자가 주체로 설립한 것이며, 50% 이상이 창업동기로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일을 하고 싶다’를 들고 있음
o 업종별로는 서비스업이 40%로 가장 많고, 규모 면에서는 소규모가 다수를 차지함
□ 신사업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7가지 형태의 중소기업 사례에 대해 조합의 목적, 주요 사업 등을 소개함
o 조합 형태별로는 기업조합 3개, 사업협동조합 2개, 상공조합 1개, 상가진흥조합 1개이며, 모두 개인 또는 소규모사업자를 조합원으로 하는 전형적인 중소기업조합임
o (사업목적) 모두 조합원들에게 이익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구성원을 위해 활동하는 것은 중소기업 조합의 비공익성이라는 특성을 감안하면 당연한 결과임
o (사업 활동을 위한 아이디어) 상호부조 정신에 따라 조합원들의 역량을 모으는 것은 물론, 공통의 목표를 가진 조합 이외의 조직, 예를 들면 지역의 행정조직, 역내 기업과 개인들과 모두 연계하는 사례가 많음
o (지역 사회와의 관계) 지역경제와 무관한 사업은 하나도 없으며, 이 때문에 중소기업조합은 지역과 공존공영의 관계에 있다고 평가할 수 있음
□ 중소기업은 기동성과 유연성 등의 측면에서 대기업보다 우위에 있지만 개별기업의 힘이 약하며 여전히 경제적·사회적 불이익을 받는 일이 적지 않기 때문에 이를 보강하기 위해 조합을 만들고 그 조직력을 활용하는 것은 여전히 유력한 경영전략의 하나라고 판단됨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