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중국 국가통계국에 의하면, 2015년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33.3% 증가한 3.88조 위안
• 2015년 B2C 시장 규모는 전년 동기대비 53.7% 증가한 2.02조 위안
• 전자상거래 이용자 수는 4억 1천 3백 만 명으로 2014년 말 보다 14.3% 증가
• 모바일 전자상거래 이용자 수는 전년 동기대비 43.9% 증가한 약 3억 3천 9백만 명으로 전체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 수의 54.8%로 처음으로 과반수를 초과
■ 2015년 말 현재, 전자상거래 이용자 수는 4억 1천 3백 만 명으로 2014년 말 보다 14.3% 증가
■ 중국 소비자들의 진품과 다양한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중국의 해외직구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 우리나라 역직구 시장의 성장배경에는 한류(韓流)와 중국 유학생, 여행객(遊客) 및 동포 등에 의한 구매 및 보따리상과 입소문 마케팅의 효과로 분석됨.
■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중, B2C의 비중이 50% 이상이고, 주요 B2C 플랫폼은 티몰(Tmall)과 징동(JD)이며, 그 점유비중은 80.8%로 압도적임.
■ 중소기업의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방법은 크게 4가지로,
•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 플랫폼 활용, △중국 역직구 플랫폼 판매대행 지원사업 활용, △국내해외직판 플랫폼 입점, △자체 역직구 쇼핑몰 운영 등이 있음.
■ 중국 온라인 플랫폼과 국내 역직구 쇼핑몰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면,
• 중국 온라인 플랫폼 입점은 기존 고객층이 확보되어 있어 판매기회가 많고, 초기 비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입점자격이나 제품등록기준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다는 리스크가 존재함.
• 국내 역직구 플랫폼은 운영의 자율성과 판매 수수료 절감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초기비용 부담이 커고, 마케팅, C/S, 물류 등 제발업무의 불안정성이 존재함.
■ 중소기업의 중국 온라인시장 진입 프로세스는 ‘쇼핑몰오픈→콘텐츠 운영→프로모션→주문・결제→물류・배송→C/S콜센터’로 이루어짐.
■ 물류 및 통관모델은 직수출 모델과 보세구 수출모델이 존재하고, 이론적으로 보세구 수출모델이 적합하나,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비용증가를 감안해야 함.
■ 중국은 해외직구관련 세금제도를 개정하여 세수제도 정비를 한층 강화함
• 중국 재정부는 해관총서, 국가세무총국과 공동으로 ’16년 3월 24일 ‘국경간 전자상거래 소매를 통한 수입 및 행우세 정책 조정안’을 발표하고, 동년 4월 8일부터 소액 물품에 대한 행우세 면제 제도를 폐지하고, 행우세를 상향조정 함.
■ 해외직구 통합관리를 위한 13개 국제전자상거래 시범도시에서만 B2B2C 보세수입이 허용되고, 기타 지역에서는 ‘해외직송’ 방식만 허용되고 있으며, 시범도시별로 업무스타일과 요구조건이 다르므로 관련 특징을 분석해야 함.
■ 중국 B2C 시장 진출 시 시사점으로는,
• △모바일 및 SNS 쇼핑몰 활용, △온・오프라인 판매 대리상 일원화, △중국 소비자 입장에서 플랫폼 구성, △제품별로 특화된 쇼핑몰 공략 등을 고려
■ 정책제언으로는,
• △온라인 수출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마케팅 지원,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활성화를 위한 전자상거래 특구 지정 필요, △국제전자상거래 시범도시별 활용 연구 등이 필요